programmer4 if kakao에 다녀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참가자로 선정되어 if kakao 에 다녀왔다.키노트부터 화두는 역시 AI.작년엔 AI, LLM 개발 관련 세션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하는데, 이번엔 AI 사용 사례나 활용 방법에 대한 이야기도 있어서 꽤 흥미로웠다.카카오 안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노력이 많았고, 덕분에 도입해볼만한 아이디어도 많이 얻어왔다. AI 가 도입되면서 더 이상 개발자 안뽑는 다는 말이 많은데, 아직까지는 AI가 개발자를 완전 대체한다는 것은 불가능 한 일인 것 같다.그렇지만 생산성은 확실히 좋아졌고 전보다는 확실히 많은 일을 할 수있게 됐다.AI 시대에 준비된 개발자가 되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. 2025. 9. 30. CJS vs ESM 자바스크립트는 웹 개발의 핵심 언어 중 하나로서, 자바스크립트로 개발을 하다보면 CJS라 불리는 CommonJS, 그리고 ESM 이라 불리는 ECMAScript이라는 두가지 모듈 시스템을 마주치게 된다. 자연스럽게 "왜 같은 자바스크립트인데 두 개의 모듈 시스템이 존재할까?"라는 궁금증이 들기 마련이다. 이 글에서는 모듈 시스템이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고, 어떤 특징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자. 웹 초기 시절에 JS는 브라우저에서 간단한 동작만을 위해 존재했기 때문에 모듈(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개별적 요소로서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)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았다. HTML에 script 태그로 간단히 적을 수 있는 정도였다. 하지만 웹앱의 기능이 커지면서 복잡하고 긴 코드를 좀 더 정리하고 재사용.. 2024. 6. 2. 캐싱 전략 - Cache-Control 'Cache-Control' 헤더는 요청과 응답 모두에서 캐싱 지시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, 캐시의 작동 방식에 영향을 준다. 이 지시어들은 단방향으로, 요청(Request)에서 설정된 지시어가 응답(Response)에 자동으로 적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.(반대의 경우도 같음) 캐시 종류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Cache-Control 헤더만 잘 사용하더라도 웹 앱의 성능과 동작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, 리소스의 재검증 방식이 로드 시간과 대역폭 사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. 주요 지시어max-age= : 리소스가 사용가능하다고 간주되는 최대 시간, 즉 캐시할 시간을 초 단위로 지정한다. 요청과 응답 헤더에서 흔히 사용된다.no-cache : 캐싱은 허용하지만, 캐시된 데이터의 사용은 모든 .. 2024. 5. 29. Why React? | 리액트 왜 사용하세요? 요즘의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누구나 알고 있어야 하는 리액트. 딱히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웹개발에 관심이 있는 개발자라면 누구나 리액트가 인기있고 대세라는 것은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이다. 개발자에게 의미있는 NPM 다운로드 수 기준으로만 본다면, 모던 웹 라이브러리/프레임워크(Modern Web Library/Framework) 즉, Angular, React, Vue 이 3대장 사이에서도 압도적인 다운로드 숫자를 가지며, 프로덕션 환경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는 jQuery도 따라올 수 없는 수준이다. 그리고 이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. React의 출시는 2013년이지만 본격적으로 인기가 많아진 시기는 React Hooks가 출시된 2019년 즈음부터인것 같다. 그 이전에는 클래스형 컴포.. 2024. 5. 14. 이전 1 다음